목록카카오페이지 (3)
관심있는 서비스들의 UX/UI를 어리숙하게 바라보기

Re-Design 1. 한번에 충전 가능한 캐시시스템 도입 가. 리디자인 선정 이유 카카오페이지의 수익구조는 광고/유료결제/판권판매로 구분 됩니다. 해당 수익을 통해 질 좋은 콘텐츠를 지속해서 공급하는 선순환이 중요합니다. 결국 이용자들의 지갑을 열어 그 돈으로 선순환 시킬 수 있는 과정이 필요하다는 의미입니다. 그러므로 이용자들이 유료결제를 하는 과정에서의 문제점은 고쳐나가고 더 좋은 환경을 구축해야하기에 캐시시스템 내 불편함을 개선하려 선정했습니다. 나. 문제점(AS-IS) - 기다리면 무료, 연재예정작, 캐시 프렌즈 등의 유료결제 유입 모델의 큰 문제점은 보이지 않음 - 카카오페이지 기다리면 무료 웹툰들은 대여권과 소장권이라는 유료결제를 통해 미리 작품을 감상할 수 있다. 하지만 여기서 '작품별 대..

디자인 시스템과 인터렉션 1. 핵심 사용 환경 정의(1차 유저 기준) Case1. 웹툰/웹소설(특정 콘텐츠)를 탐색하고 감상하기까지 Case2. 웹툰/웹소설을 감상하고 관련 이용권 구매 및 사용 2. 핵심 사용 환경 UX/UI 분석 가. Case1 - 우선 새로운 웹툰/웹소설을 보는지, 이어보는지의 2가지 갈래로 나누었습니다. - 행동 예측 간 분석이 같이 가능한 것들은 번호로 구분했습니다. ❶ 홈화면/스크롤/기타 카테고리 1) 개요 A. 상단 고정바 : 캐시 프렌즈/ 카카오페이지 로고/ AI 검색은 홈화면 이용 시 고정되어 표시 B. 콘텐츠 종류 : 총 5개의 종류로 구분되었으며 웹툰/웹소설 옆 시계모양 아이콘은 '기다리면 무료' 서비스 C. 추가 카테고리 : 오늘 신작, 오늘 UP 등의 추가 카테고리..

카카오 앱 서비스 중 카카오페이지를 2번째 분석대상으로 선택했습니다. 그 이유로는 모바일 특성상 웹툰, 웹소설, 영화, 동영상에 관한 콘텐츠 IP 서비스가 인기 있으며 다른 서비스와의 비교 분석이 쉽게 가능했기 때문입니다. 또한 해외시장에서 카카오페이지의 실적이 눈에 띄게 좋아지면서 사용 환경에 대한 관심이 생겼습니다. 유저 구분 및 앱의 목적 카카오페이지는 글로벌 종합 콘텐츠 IP 서비스 채널 *콘텐츠 IP = Content Intellectual Property(콘텐츠 지적 자산), 재산으로서의 지식. 1. 유저 구분 카카오페이지의 수익구조에 따른 유저 구분 콘텐츠를 공짜로 제공하고 광고로 수익은 버는 구조가 아니라 콘텐츠를 유료화해 계약 수수료를 콘텐츠 실제 공자(작가)에게 지불하는 구조입니다. 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