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비즈니스모델 (3)
관심있는 서비스들의 UX/UI를 어리숙하게 바라보기

음원 스트리밍 플랫폼 기업의 서비스 기획 업무를 담당하며 경쟁사 분석이 필요했습니다. 최근 음원 스트리밍 서비스를 이용하는 유저의 핵심 니즈는 '큐레이션 기능'입니다. 해당 서비스를 중심으로 유저 환경을 제공하는 기업은 해외의 '유튜브 뮤직', '스포티파이', 국내는 '네이버 VIBE'가 대표적입니다. 그중 '네이버 VIBE'를 선택했으며 서비스 분석 범위는 iOS 모바일 앱 기준입니다. 1. 네이버 VIBE 소개 2018년 6월 출시, 네이버가 만든 ‘사용자의 취향과 주변 맥락까지 파악하는’ AI 기반의 차세대 뮤직 서비스 2. 네이버 VIBE 이력 - 2018년 6월 출시, 운영은 YG Plus에서 담당 - 2019년 3월부터 PC와 모바일 웹에서도 이용 가능 - 2020년 말 네이버 뮤직의 서비스 ..

카카오 앱 서비스 중 카카오페이지를 2번째 분석대상으로 선택했습니다. 그 이유로는 모바일 특성상 웹툰, 웹소설, 영화, 동영상에 관한 콘텐츠 IP 서비스가 인기 있으며 다른 서비스와의 비교 분석이 쉽게 가능했기 때문입니다. 또한 해외시장에서 카카오페이지의 실적이 눈에 띄게 좋아지면서 사용 환경에 대한 관심이 생겼습니다. 유저 구분 및 앱의 목적 카카오페이지는 글로벌 종합 콘텐츠 IP 서비스 채널 *콘텐츠 IP = Content Intellectual Property(콘텐츠 지적 자산), 재산으로서의 지식. 1. 유저 구분 카카오페이지의 수익구조에 따른 유저 구분 콘텐츠를 공짜로 제공하고 광고로 수익은 버는 구조가 아니라 콘텐츠를 유료화해 계약 수수료를 콘텐츠 실제 공자(작가)에게 지불하는 구조입니다. 결..

앞서 카카오 맵의 주요 기능 및 UX/UI를 간단히 살펴보았습니다. 이제는 다른 전문가들과 현업에 종사하시는 분들의 글들을 참고하면서 IA분석을 해야겠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사실 IA에 관한 여러 글들을 읽었을 때 바로 소화되진 않았습니다. 관련 다이어그램, 도표들도 살펴보고 해외 Article들도 읽어보았지만 명확히 정의되기는 어려웠습니다. 여전히 이를 배우고 있는 과정이기에 건전한 피드백들과 도움을 주시면 감사드리겠습니다. IA(Information Architecture)는 서비스 구축의 기본 뼈대, 정보의 구조화를 말한다. 구조/Navigation/content 설계/검색/레이블링 등의 주요 5가지를 고려해 정보를 구조화하여 서비스를 구축하는 IA를 카카오 맵에 접목해 분석해보겠습니다. 또한 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