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환영 (4)
관심있는 서비스들의 UX/UI를 어리숙하게 바라보기

앞서 네이버 밴드의 비즈니스 모델을 확인했습니다. 이번에는 네이버 밴드 유저의 입장에서 사용 과정을 추측해보고 이에 따른 네이버 밴드의 UX/UI를 분석하겠습니다. 또한 네이버 밴드의 유저 사용 과정을 네이버 밴드의 수익모델, Affordance에 기초해 범위를 집중하겠습니다. 네이버 밴드 핵심 비즈니스/ 수익모델 요약 - 공통된 특정 성격의 모임과 단체를 온라인에서 운영하게 끔 도와주는 플랫폼 - 온라인 모임을 형성하고 구성원들을 초대하는 기능 제공(폐쇄형/공개형) - 온라인 모임 운영시 필요한 세부적인 기능 제공 - 오프라인 모임의 보조적인 역할을 할 수 있는 환경 제공 - 현재로는 광고/기타 밴드 내 구입 형태의 수익모델 제공 - 활동 시 연계된 수익모델은 없음 유저 사용 과정(User Flow) ..

카카오 앱 서비스 중 카카오페이지를 2번째 분석대상으로 선택했습니다. 그 이유로는 모바일 특성상 웹툰, 웹소설, 영화, 동영상에 관한 콘텐츠 IP 서비스가 인기 있으며 다른 서비스와의 비교 분석이 쉽게 가능했기 때문입니다. 또한 해외시장에서 카카오페이지의 실적이 눈에 띄게 좋아지면서 사용 환경에 대한 관심이 생겼습니다. 유저 구분 및 앱의 목적 카카오페이지는 글로벌 종합 콘텐츠 IP 서비스 채널 *콘텐츠 IP = Content Intellectual Property(콘텐츠 지적 자산), 재산으로서의 지식. 1. 유저 구분 카카오페이지의 수익구조에 따른 유저 구분 콘텐츠를 공짜로 제공하고 광고로 수익은 버는 구조가 아니라 콘텐츠를 유료화해 계약 수수료를 콘텐츠 실제 공자(작가)에게 지불하는 구조입니다. 결..

지난번 카카오 맵 개요에 이어서 주요 기능 및 UX/UI를 분석하겠습니다. 카카오 맵의 UX/UI 심층 분석 이전에 전체적인 체계, 흐름, 구성 등을 살펴보기 위한 과정입니다. 카카오 맵을 포함 해 지도 서비스들의 핵심 기능은 소비자가 원하는 경로의 최적화를 제시하는 것입니다. 이들은 차량/대중교통 조합/도보/자전거등의 교통수단등을 바탕으로 최적화 경로를 제시합니다. 그럼 카카오맵을 다운로드 한 후 몇가지 기능을 써보면서 주요 기능 및 UX/UI를 살펴보겠습니다. Step 0) Download시 1. 카카오 맵 다운로드 시 3개의 인터페이스를 거쳐 카카오 맵 주 이용 화면으로 이동 2. Splash 화면 ▶︎ 시작하기 유도 화면 ▶︎ 앱 이용 시 필요한 권한 허용 화면 ▶︎ 홈 화면 Step 1) 카카오..

첫 번째 You.XI 리뷰 주제는 카카오 맵입니다. 밖에 나간다 하면 지도 서비스를 필수적으로 이용하실 겁니다. 대표적으로 카카오 맵, 네이버 지도, Google지도 등이 있습니다. 저는 그 중 카카오 맵을 분석해보기로 했습니다. 왜냐, ✓ 서비스 UX/UI 리뷰 초보자에게 안성맞춤 ✓ 여자 친구 차에서 카카오 맵을 썼을 때 가장 덜 싸움 주요 기능을 분석하기 앞서 간략하게 카카오 맵을 소개드리고자 합니다. • 소유 및 운영회사 : 카카오 • 가족관계 (제 입맛대로) - 부모님 : 카카오 모빌리티 + Daum 지도 - 형제/자매 : 카카오 내비, 카카오 버스, 카카오 지하철 - 사촌관계 : 카카오 T • 카카오 맵의 변천사 (나무 위키 참조) - 카카오 맵은 Daum 지도의 업그레이드 버전 - 2003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