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앱크리틱/네이버밴드 (3)
관심있는 서비스들의 UX/UI를 어리숙하게 바라보기

유저 사용 과정을 중심으로 네이버 밴드에서 제공하는 유저 환경을 세분화 해 분석했습니다. 개인적인 기준에서 장점과 단점을 분석했고 단점의 경우 리디자인을 통해 디벨롭해보겠습니다. 그전에 정보구조 탐색과 전반적인 UX/UI를 평가하겠습니다. 정보구조 네이버 밴드의 정보구조는 밴드(앱) 전체 UX와 밴드 형성 및 운영 UX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 밴드(앱) 전체 분석 - 밴드를 직접 운영하는 화면을 제외하고 밴드 앱 자체의 기능은 불편함 없이 모두 포함되어있습니다. - 특히 하단 내비게이션 바의 흐름은 ' 밴드 목록 관리-밴드 별 글 한 번에 확인 - 밴드 검색 - 소식 알람- 채팅 기능- 설정'으로 개괄적 밴드 활용에 대한 편의성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 특이한 점은 홈/새글피드/검색에는 고정형 노출과..

앞서 네이버 밴드의 비즈니스 모델을 확인했습니다. 이번에는 네이버 밴드 유저의 입장에서 사용 과정을 추측해보고 이에 따른 네이버 밴드의 UX/UI를 분석하겠습니다. 또한 네이버 밴드의 유저 사용 과정을 네이버 밴드의 수익모델, Affordance에 기초해 범위를 집중하겠습니다. 네이버 밴드 핵심 비즈니스/ 수익모델 요약 - 공통된 특정 성격의 모임과 단체를 온라인에서 운영하게 끔 도와주는 플랫폼 - 온라인 모임을 형성하고 구성원들을 초대하는 기능 제공(폐쇄형/공개형) - 온라인 모임 운영시 필요한 세부적인 기능 제공 - 오프라인 모임의 보조적인 역할을 할 수 있는 환경 제공 - 현재로는 광고/기타 밴드 내 구입 형태의 수익모델 제공 - 활동 시 연계된 수익모델은 없음 유저 사용 과정(User Flow) ..
NAVER DESIGN COLLOQUIUM '19의 영상 중에 '네이버 밴드' 관련 주제를 보고 여러 궁금증이 생겼습니다. - 네이버 밴드 대부분의 유저가 40~50대인데 미국에서 어떤 이유로 인기가 많지? - 국내에서 밴드를 쓰는 유저들은 어떤 특징이 있지? - 네이버 밴드가 인기가 많구나?라는 여러 궁금증이 생겼습니다. 또한, 네이버 밴드 관련 기사를 찾아보면서 COVID-19에 따른 언택트 서비스로 주목받고 있었습니다. 이에 종합적인 관심이 생겨 이번에는 '네이버 밴드'를 분석하게 되었습니다. 1. 비즈니스 모델(Business Model Canvas) 비즈니스 모델 분석을 더 체계적이게 학습할 수 있는 방향으로 'Business Model Canvas'을 적용해보겠습니다. 이 중 네이버 밴드의 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