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심있는 서비스들의 UX/UI를 어리숙하게 바라보기

UX/UI 분석(네이버 바이브 #2) 본문

앱크리틱/네이버 VIBE

UX/UI 분석(네이버 바이브 #2)

YOUXI린이 2020. 10. 28. 21:07

네이버 VIBE의 UX/UI 장단점을 최대한 객관적인 시각에서 분석하고자 했습니다. 그래서 음악 스트리밍 서비스를 이용하는 유저들의 핵심 활동을 정의하고 이에 네이버 VIBE는 어떤 서비스 환경을 제공하는지 살펴보았습니다. 이는 네이버 VIBE 유저들의 정성적인 사용 데이터를 얻기에 제한점이 많아 선택한 분석방법입니다. 

 

1. 유저 핵심 활동

가. 핵심 활동 

 

유저 핵심 활동

1) 음악 콘텐츠 플랫폼 탐색 및 선택

- 유저 입장에서 어떤 음악 스트리밍 플랫폼을 선택해 이용할지는 가장 중요한 사안

- 음악 스트리밍 플랫폼의 선택 기준은 관련 플랫폼의 서비스 경쟁력과 밀접한 관계

- 과거 음악 스트리밍 플랫폼 선택 기준은 '가격 경쟁력'.  통신사, 카드사 등과의 연계 할인 정책으로 특정 스트리밍 플랫폼에 유입 유도

- 이제는 '가격 정책'에 따른 경쟁력이 무분별해지면서 음악 스트리밍 형태를 다각화해 경쟁력을 가짐

- 즉, 큐레이션, 추천, AI 탐색 및 감상 등의 서비스 경쟁력이 유입 요인으로 작용

- 더 이상 유저들은 '가격 경쟁력'으로 음악 콘텐츠 플랫폼을 선택하지 않는다는 의미.

- 앞서 '산업 동향 및 경쟁사 분석'을 참고하시면 도움이 됩니다.

  

2) 음악 콘텐츠 탐색 및 선택

- 유저들은 홈 화면의 차트를 통해 음원 콘텐츠 탐색을 가장 즐겨함

- 최신/인기 차트에 유저가 좋아하는 아티스트나, 곡 등이 노출될 경우 감상으로 쉽게 이어지며 활용 빈도가 높음

- 하지만 최근 사재기 논란으로 차트의 중요성이 떨어지고 개인화 음악 감상에 대한 니즈가 증가하면서 차트 탐색 및 선택 과정이 약화

- 음악 스트리밍 외에도 다양한 음악 콘텐츠(관련 영상, 글)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음. 이는 탐색 및 선택 과정에 또 다른 옵션으로 작용

- 또한, 유저들은 음악 콘테츠 탐색 및 선택에 주체적인 행동들을 녹여내고 있음

- 아래 '니즈' 를 분석하며 추가적으로 살펴보겠습니다.

 

3) 음악 콘텐츠 이용 및 감상

- 과거 음악 콘텐츠를 감상할 수 있는 방법과 인프라는 제한적

- 이제는 휴대폰만 있으면 누구나 편하게 음악을 스트리밍 할 수 있는 시대

- 이를 넘어서 다양한 기기와의 연동으로 언제 어디서나 음악 스트리밍이 용이한 방향으로 진화 중

 

4) 재이용

- 플랫폼 사업의 핵심 지표인 retention-'재이용'은 앞서 유저의 핵심 활동에 만족도가 높을 때 선순환을 가짐

 

 

나. 니즈

유저의 핵심활동은 이유 있는 결과물입니다. 이 이유는 유저의 니즈에서 파생되며 핵심 활동 간 니즈를 매칭 해보았습니다.

 

유저 핵심 활동 및 니즈

1) 다양성/개인화/추천

- 앞서 언급되었던 '유튜브 뮤직', '스포티 파이'의 경쟁력은 큐레이션 및 개인화 추천 서비스

- 차트로 음악을 탐색 및 선택하는 경향이 여전히 높지만 개인화 추천 서비스에 대한 니즈는 무섭게 성장 중

- 이러한 개인화 추천 서비스는 결국 유저 취향에 맞는 다양한 음악이 노출될 수 있는 확률을 높임

 

2) 참여/편리함

- 유저들은 음악 탐색 후 감상하는 것을 넘어서 음악 콘텐츠를 생산하고 공유하는 니즈가 강함

- 음악 스트리밍 플랫폼의 유저 연령대는 소위 말하는 Z세대. 이들은 이용을 넘어서 생산의 의지가 강한 세대

- 또한 간단한 제스쳐로도 음악을 감상 할 수 있는 방법과 UX 뎁스의 가벼움을 원하는 유저들이 증가

 

2. 네이버 VIBE의 서비스 매칭

네이버 VIBE 서비스 매칭(요약)

1) 네이버 VIBE의 서비스를 유저의 핵심활동과 니즈에 매칭했을때 레거시 플랫폼과의 차이점은 개인화 추천 서비스의 강조

2) iOS 앱 기준 네이버 VIBE의 홈 화면은 차트가 아닌 개인화 음원 서비스를 노출 시키고 있음

3) 또한 네이버 뮤직의 '뮤지션 리그' 서비스를 유지하며 참여형 니즈를 충족시키는 기능 제공

4) 이외에 세부적인 특징과 장단점은 다음 챕터에서 깊게 다루도록 하겠습니다.

'앱크리틱 > 네이버 VIBE' 카테고리의 다른 글

UX/UI 분석(네이버 바이브 #1)  (0) 2020.10.27
Comments